신혼부부의 재테크 성공 3가지 실천 노하우
2015.04.05 20:07
1. 계획적인 소비를 통해 지출 줄이기
지출을 줄여 발생한 잉여자금으로 투자 가능자산을 조금씩 늘려나가는 것이 신혼부부들에게 가장 적합한 재테크 방식입니다. 재테크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생각을 행동으로 옮기는 것입니다.
수많은 재테크 전략이 있지만 변하지 않는 사실 하나는 돈이란 것은 저축과 투자를 통해서만 불어난다는 것입니다. 특히 신혼부부 시절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지 못한다면나이가 들어서 자산을 증식시키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 될것입니다..
2. 두사람만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서 자산의 증식을 도모하라
|
포트폴리오는 거액 자산가들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돈을 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돈을 모으는 목표를 분명히 하고, 기간에 따라 자산을 분배하여 관리해야 합니다. 신혼부부는 자녀 교육비 및 상대적인 지출이 적다는 점을 을 감안하여, 우선 최대한 지출을 줄이고 투자 가능 금액을 늘려 좀 더 공격적으로 투자해야 합니다. 그리고 장기적인 관점의 투자나 저축을 동반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합니다. 다시 말하지만 생각에서 그치지 말고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3.마인드의 변화를 통해 미래의 풍요와 행복을 준비하라 |
마인드의 변화란 현재의 생활에 안주하지 말고 안정된 노후를 준비하는 데 비중을 두는 쪽으로 생각을 바꾸자는 것입니다. 많은 사회 초년생들이 급여가 지속적으로 오를 거라는 생각과 함께 나이가 들어서도 계속 소득이 생길거라는 착각속에 소비에 열중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말 그대로 착각일 뿐입니다. 인간의 수명은 길어지는 반면 일할 수 있는 기간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제는 기나긴 노후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시기가 되었습니다. 1970년대는 노동인구 12명이 노인인구 1명을 부양하면 됐지만, 2000년에는 7.6명의 노동인구가 노인 1명을, 또 2030년에는 2.4명의 노동인구가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하는 인구 구조의 변화 역시 은퇴 이후를 걱정하게 하는 요인입니다. 국가가 지원하는 노후 연금도 인구 구조의 불균형적 변화로 점차 어려워질 것입니다. 이제는 신혼의 달콤함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미래를 내다보는 안목을 키워야 할 때 입니다. |